현대엔지니어링(대표이사 주우정)이 울산에서 진행 중인 『샤힌 프로젝트 패키지-2(SHAHEEN Project Package-2)』에서 당사 최초로 PAU 모듈(Pre-Assembled Units Module)을 설계, 구매, 제작 관리 및 현장 설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PAU 모듈’은 철골, 기계, 배관, 전기 등이 포함된 대형 구조물로, 모듈 공장에서 사전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하여 설치된다. 이를 통해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시공 효율성과 작업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번에 설치된 PAU 모듈은 길이 22.8m, 폭 16.3m, 높이 23m, 무게 327t의 대형 구조물로, 총 3기가 제작되었다. 목포에서 제작된 PAU 모듈은 목포 대불항에서 선적된 후, 남해를 따라 이틀간 470km를 운송해 울산 현장에 안전하게 설치됐다. 이로써 현대엔지니어링은 설계부터 구매, 모듈 제작 관리, 육·해상 운송, 현장 설치까지 전 과정을 총괄하며 PAU 모듈 기술력을 입증했다.
『샤힌 프로젝트』는 발주처 에쓰-오일이 국내 석유 화학 투자 중 최대 규모인 약 9조 3천억 원을 투자해 고부가가치 석유화학제품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완공 후 연간 에틸렌[1] 180만 t, 프로필렌[2] 77만 t 등의 기초 유분과 LLDPE[3] 88만 t, HDPE[4] 44만 t의 폴리에틸렌[5]을 생산할 예정이다.
한편,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2021년에 준공한 『쿠웨이트 알주르 LNG 수입 터미널 프로젝트』에서도 모듈러 공법을 도입해 공사 기간을 대폭 단축한 바 있다.
당시 총 1.2km 길이의 해상 접안시설 상부 구조물 공사를 적기에 완료하는 것이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이었다. 이에 현대엔지니어링은 해상 공사의 변수를 극복하기 위해 해상 접안시설 상부 구조물 및 배관 공사에 모듈러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6개월 이상의 공기 단축 효과를 거두는 성과를 달성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이번 PAU 모듈의 성공적인 수행은 프로젝트 완수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당사의 플랜트 모듈화 기술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1] 에틸렌(Ethylene): 석유화학의 기초 원료로 다양한 플라스틱과 화학제품의 원료로 사용됨.
[2] 프로필렌(Propylene): 폴리프로필렌 등 플라스틱 제품의 주된 원료.
[3] LLDP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유연성과 인열 강도가 뛰어나 포장재, 랩 필름 등에 사용됨.
[4] 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강도와 내화학성이 높아 파이프, 용기, 건축 자재 등에 활용됨.
[5]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에틸렌을 중합해 만든 가장 일반적인 플라스틱으로, 가볍고 내화학성이 뛰어나 포장재, 용기, 배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됨.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group@hyundai.com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의 기사와 이미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이 제공받은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HMG 운영정책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