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 ‘제5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참여 도시건축 조형물 공개

nav-menu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에서 도심 속 인간 중심의 공간을 표현한 전시 선보여 한국 전통 건축에서 영감 받은 ‘수연재’ 제작, 시민들 참여 가능한 공간 마련 ‘인류를 위한 진보’에 따라 도시 속 유기적 모빌리티를 제공하겠다는 의지

현대자동차그룹은 26일(금) 서울시가 주최하는 ‘제5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에서 직접 디자인한 전시물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도시 건축’을 주제로 급속한 도시 성장 속 파생된 현안을 다루며 인간 중심의 친환경 도시 모습을 되찾고자 지난 2017년부터 2년마다 개최되고 있는 국내 최초 도시건축 행사다.

올해는 '매력 도시, 사람을 위한 건축(Radically More Human)' 주제 아래 다양한 전시와 더불어 개막 포럼, 시민참여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영국 출신의 세계적인 건축가 토마스 헤더윅(Thomas Heatherwick)이 총감독을 맡았다.

지난 6월 현대자동차그룹은 서울시와 전시 후원 업무 협약을 맺고, 미래 모빌리티와 도시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도시 건축 조형물을 제작해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기간 중 전시하기로 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참여한 전시물 ‘수연재(水然齋, The Healing Wall)’는 24개의 야외 설치 작품 중 하나로, 도심 속 인간 중심의 힐링 공간을 파사드[1] 조형물로 구현됐다. 

한국 전통 건축에서 영감을 받은 수연재는 일반적인 파사드 전시물과 달리 시민들이 직접 체험하고 내부에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됐다.

관람객은 산 능선을 닮은 처마 디자인과 함께 기와를 따라 흐르는 물을 벤치에 앉아 감상하면서 휴식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현대자동차그룹 디자이너들은 물이 중앙으로 흐를 수 있는 최적의 각도로 기와를 디자인하고 배치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수연재를 방문하는 관람객들이 대청마루에서 빗소리를 듣는 것과 같은 경험을 통해 지친 일상 속에서 작지만 깊은 위로를 받고 잔잔한 여운을 남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연재의 또다른 특징은 ‘철’ 소재의 자연스러운 탄성을 살리고 본연의 강인함과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현대자동차 디자인 언어 ‘아트 오브 스틸(Art of Steel)’이 반영됐다는 점이다.

실제로 수연재에는 자동차에 주로 사용되는 금속 소재를 사용, 재활용을 통한 지속 가능성을 표현하면서도, 자연의 빛과 물을 활용해 따뜻함을 더했다.

이번 전시는 ‘인류를 위한 진보’라는 비전 아래 도시의 다양한 건축물과 모빌리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치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현대자동차그룹은 설명했다.

수연재 전시물은 서울 열린송현 녹지광장에서 11월 18일까지 만나볼 수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야외 전시 외에도 27일과 28일 진행되는 개막 포럼에 참여해 ‘사랑받고 오래 지속될 수 있는 건축물’에 대해 건축가, 교수, 작가 등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한다.

현대제네시스글로벌디자인담당 이상엽 부사장은 패널 토론을 통해 변화하는 도시 풍경과 조화를 이루는 자동차처럼 자연과 교감하는 건축 디자인에 대한 생각을 시민들과 공유한다.

현대자동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작업은 헤더윅 스튜디오와 함께 새로운 방식을 탐구하는 도전적인 경험으로 향후 도시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폭넓은 관점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라며 “현대자동차그룹의 전시물이 단순한 작품을 넘어 서울 시민들이 도심 속에서 기억에 남을 힐링의 경험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개막포럼은 당일 서울비엔날레와 서울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1] 파사드(façade): 건축물의 정면 외벽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group@hyundai.com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의 기사와 이미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이 제공받은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HMG 운영정책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