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이 산학 협력을 통해 차세대 태양광 모듈 개발을 추진한다.
현대제철은 지난 4일 한화솔루션, 롯데건설, 삼화페인트, 엡스코어, 고려대학교와 철강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1] 모듈 공동 기술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은 국토부의 탄소중립 로드맵에 맞춰 확대되는 제로에너지건축물(ZEB, Zero Energy Building)[2] 의무화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대제철은 협약을 통해 철강 소재 기반의 고효율 BIPV 모듈을 개발하고, 건축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보통 태양광 소재로 글라스가 사용되는데 이를 철강으로 대체하면 내구성이 좋아지고 열전도율이 높아져 발전 효율 또한 높아진다. 이러한 철강 소재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BIPV 모듈 공동개발을 진행한다.
먼저 현대제철과 삼화페인트가 소재 단계의 개발을 공동 추진한다. BIPV 전문 제조사 엡스코어는 제품 개발의 중심축 역할을 하며 한화솔루션과 롯데건설은 각각 재생에너지와 건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술 개발을 돕는다. 고려대는 학술적 검증과 기술 자문을 통해 프로젝트의 신뢰성을 높일 예정이다.
각자의 전문성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소재→제품→건축물에 이르는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계 개발함으로써 성능을 높이는 건 물론 상용화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이번 협력은 산학계가 공동으로 미래 에너지 솔루션을 모색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향후 BIPV 기술의 상용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며 "철강 소재의 강점과 태양광 기술을 융합해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는 건축 솔루션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1]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 건축 자재와 태양광 발전 모듈을 결합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
[2] 제로에너지건축물(ZEB, Zero Energy Building) :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
- 2019년 6월 제로에너지건축 단계적 의무화를 위한 세부로드맵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화 시행
- 2020년부터 연면적 1,000㎡ 이상 공공건축물 대상으로 의무화하고 2025년부터는 민간건축물 대상으로 범위 확대해 2050년 전(全)건물 적용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group@hyundai.com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의 기사와 이미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이 제공받은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HMG 운영정책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