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browser does not support the video element.

nav-menu

기아, 고객 중심의 모빌리티 혁신, PV5

지난 10일 계약을 시작한 브랜드 최초의 전동화 전용 PBV ‘더 기아 PV5’를 보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PV5는 기아가 제시하는 미래 모빌리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담은 모델인데요. 박은결 리포터, 기아 PV5는 단순한 이동 수단,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죠? 네, 기아는 PBV를 ‘목적 기반 차량’이라는 기본 정의를 넘어,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으로 의미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기아는 제조사 중심의 생산, 판매 방식에서 벗어나 고객이 요구하는 다양한 형태의 모빌리티 서비스, 물류, 레저 활동 등에 대응할 수 있는 ‘고객 중심의 진정한 모빌리티 혁신’을 목표로 PV5에 다양한 라인업을 갖췄는데요. 그중에서도 패신저(5인승) 모델과 카고(롱) 모델을 먼저 선보였습니다. PV5 패신저는 다채로운 모빌리티 서비스와 고객의 자유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위해 개발됐습니다. 패신저 ‘5인승 모델’은 2열 시트에 리클라이닝과 ‘폴드 다이브’ 기능을 적용해 실내 공간을 극대화하였으며 차량 곳곳에 실용적인 수납공간을 마련해 공간 활용도가 뛰어난데요. 저상화 플로어 설계를 적용하고 넓은 2열 슬라이딩 도어 개방폭으로 캐리어나 부피가 큰 짐을 든 상태에서도 쉽게 타고 내릴 수 있게 하여 탑승 편의 또한 향상시켰습니다. 모빌리티 서비스는 물론 차박, 피크닉 등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할 수 있는 PV5 패신저 모델은 향후 탑승 인원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시트 배열도 선택 가능합니다. PV5 카고는 물류 운송 및 도심 배송에 중점을 두고 1열을 제외한 뒤쪽 공간을 화물 적재에 집중한 모델입니다. 이번에 출시된 PV5 카고 롱 모델은 최대 4,420ℓ까지 적재할 수 있는데요. ‘L-Track 마운팅’ 등의 커스터마이징 장착 구조와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V2L, ‘워크 어웨이 락’ 등의 기능을 더해, 고객의 업무 효율성과 실사용 편의성을 강화했습니다. PV5는 고객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폭넓은 라인업을 갖췄는데요, 이후에도 추가되는 라인업이 있죠? 네, 기아는 이후, 교통 약자의 편의성을 위한 WAV 모델과, 트럭처럼 적재 공간이 오픈된 ‘샤시캡’ 등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또한, ‘오픈베드’, 레저와 휴식에 최적화된 ‘라이트 캠퍼’, 패신저의 고급화 모델 ‘프라임’ 등 다양한 컨버전 모델을 더할 예정입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라인업의 배경에는 특별한 기술이 있죠? 네, 바로 현대자동차그룹 PBV 전용 플랫폼 E-GMP.S와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인데요, 이와 함께 뛰어난 구동계가 PV5의 다양한 활용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그룹 최초 PBV 전용 플랫폼 ‘E-GMP.S’가 적용된 PV5는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또한 최초로 적용했습니다. 이 기술은 표준화된 차량 바디에 모듈화된 부품을 퍼즐처럼 조합해 다양한 사양을 만드는 방법인데요. 고객의 요구에 맞게 다양한 바디 타입을 만들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PV5가 다양한 라인업을 갖출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PV5는 비즈니스부터 라이프스타일까지 다양한 고객의 주행 환경에 대응해야 하는 모델로, 이를 위해 두가지 용량의 배터리를 제공합니다. 먼저, PV5 패신저는 71.2kWh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한 롱레인지 단일 사양으로 최고 출력 120kW, 최대 토크 250Nm의 동력 성능을 발휘하며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는 358km에 달합니다. PV5 카고는 71.2kWh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해 377km의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를 구현한 롱레인지, 51.5kWh 용량의 배터리를 기반으로 1회 충전 주행가능 거리 280km를 달성한 스탠다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PV5는 현대자동차그룹 최초로 배터리팩 내부에 모듈 없이 셀을 탑재하는 ‘셀투팩(Cell-to-Pack)’ 배터리 시스템을 적용해 에너지 집적도를 크게 높였는데요. 이외에도 PBV전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담은 12.9인치 대화면 디스플레이와 별도의 단말기 설치 없이 실시간 차량 데이터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레오스 플릿’ 등 PBV 전용 특화 사양들을 통해 PV5의 사용성을 크게 높였습니다. PBV는 어디에서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고객 맞춤형 전동화 모빌리티인 만큼 PV5가 가져올 변화가 기대되네요. PV5는 단순히 이동 수단으로서의 자동차가 아닌 고객의 비즈니스와 일상에 혁신을 더하는 플랫폼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이 예상됩니다. PV5는 고객이 필요로 하는 모빌리티 라이프에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량을 만들겠다는 기아의 의지이기도 한데요, PV5의 등장으로 모빌리티 서비스 솔루션이 더욱 확장되길 기대하겠습니다. 오늘 소식 전해주셔서 고맙습니다.